요즘 화장품 살때 화해app의 성분 확인은 필수가 되었죠.
20가지 주의성분과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있는데,
대부분 확실히 무엇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지 못합니다.
버전 포스팅에 이어서 20가지 주의성분을 파헤쳐보도록 할께요.
13. 트라이에탄올아민 (TEA, Triethanolamine)
다른 아민류와 마찬가지로 트리에탄올아민은 질소 원소에 있는 짝을 이루지 못한 전자쌍 때문에 약한 염기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성질의 성분은 계면활성제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면서 스킨, 로션, 아이크림 등 여러 제품의 화장품 제조시 pH균형 유리 물질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동물 실험에 의하면 장기간 또는 반복적으로 트리에탄올아민을 섭취할 경우 간과 신장 무게변화, 신장 독성, 미세 병변이 일어났으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특히 눈주위 사용 시 농도배합에따라 자극도가 증가한다고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20가지 주의성분 중 하나로 분류되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14.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Triisopropano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은 유화제, PH조절제, 부식방지제로 주로 사용되고있습니다. 이런 기능때문에 향수, 화장수등의 성분에 많이 포함되고있는데, 특히 피지분비 조절효과가 있어 여드름완화 화장품에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PH 조절 효과가있는만큼 피부의 피지분비 조절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여 오히려 피지분비를 족진 시킬 수 있으며 피부각질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 알러지 유발 간을성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심할 경우 피부염과 피부암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은 식품과 화장품 유해도를 1에서부터 10까지의 숫자로 효현한 스킨딥EWG등급에서도 유해성 보통 긍급에 포함된 EWG6등급으로 분류하였습니다.
15. 트리클로산 (Triclosan)
살균보존제로 배합
면연력을 떨어지게 하고 수정능력을 저하시키는 내분비 장애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혈액, 간, 신장에 독성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
트리클로산은 박테리아 오염을 줄이거나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물질이자 방균제입니다. 화장품쪽에선 비누, 바디워시등에서 사용되고있는데요, 이 트리클로산이 방균제로 쓰인 제품을 계속 사용하여 몸속에 축척되게 되면 박테리아가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게 됩니다.
트리클로산은 현재 정확히 안전하다, 매우 위험하다 라고 분류하지 못합니다. 지금도 계속 연구중에 있으며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검토중입니다. 비누로 사용하였을 땐 다행히 대체 성분으로 사용 될 성분들이 있지만, 하지만 트리클로산이 치약 성분으로 들어갔을 때 치은염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치약에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치약을 구매할 때 트리클로산이 있지 않은지 검토해보는것도 우리몸을 챙기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이름이 잘 알려진 치약들 중에선 차차치약, 센소다인 치약 등이 있습니다. 위 이미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본 업체에서 제품 제공 및 원고료를 받지 않은 성분표만 보고 시실을 기반 한 순수 개인 추천 입니다)
16. 파라벤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살균보존제로 배합하여 사용됩니다.
하지만 피부에 흡수가 잘 되는 편으로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기미, 주름의 원인이 되며 대표적인 내분비 장애물질로 점차 화장품에서 사용을 줄이고 있는 대표적 위험 성분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위의 성분을 안좋은 성분이라고 절대적으로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화해앱에서 정의한 이 성분들에대해서 식약처와 FDA측의 연구및 발표 결과들, 또는
화해에서 명시한 기준이 '직접 피부에 발랐을때'를 기준으로 두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수많은 블로그 글과 기사들이 쓰여지고있습니다.
화해앱에서도 다음과같이 명시되어있습니다.
'성분이란?
화해가 제공하는 성분 정보는 각 제품의 공개된 전성분을 바탕으로,
공신력있는 출처에서 제공하는 성분 특성 정보들을 매칭하여 만들어진 정보입니다.
이에 따라 성분 정보는 화해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으며,
도잇에 절대적인 기준으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화장품 구매시 참고 정보로 활용하시길 권장해드립니다.'
화장품 구매혹은 선택시 참고용으로만 사용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BEAUTY > Of Cosm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성분 분류 EWG그린등급 믿을 수 있을까? (0) | 2021.04.07 |
---|---|
화해app 20가지 주의성분6 (페녹시에탄올, PEG류, 합성착색료, 호르몬류:에스트로겐) (0) | 2021.04.06 |
화해app 20가지 주의성분4 (아이소프로필알코올, 향료, 티몰) (0) | 2021.04.02 |
화해app 20가지 주의성분3 (옥시벤존,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디엠디엠하이단토인, 이소프로필메칠페놀) (0) | 2021.04.01 |
화해app 20가지 주의성분2 (소디움라우릴황산염, 소디움라우레스황산염, 소르빈산, 아보벤존) (0) | 2021.03.31 |